반응형
Spring Boot 환경 설정에 관한 설정을 진행하다 문득 궁금해졌다.
기본적으로 생성되는 설정파일은 application.properties인데 실제 프로젝트나 웹이서 정보를 확인하면 application.yml에 대한 정보가 많이 있다.
그래서 궁금증에 대한 확인을 해보고자 한다.
위의 사진은 간단한 database설정 예시이다.
# application.properties
application.servers[0].ip=127.0.0.1
application.servers[0].path=/path1
application.servers[1].ip=127.0.0.2
application.servers[1].path=/path2
#application.yml
application:
servers:
- ip: '127.0.0.1'
path: '/path1'
- ip: '127.0.0.2'
path: '/path2'
위의 코드는 설정을 배열로 표현하는 예시이다.
육안으로 보이는 공통점은 경로 및 요소의 명칭이다.
가장 큰 차이점으로는 1줄씩 선언되는지 계층으로 표현것이다. 또한 값의 표현도 properties의 경우에는 key=value로 표현하는 반면 yml은 key:value로 표현한다.
알아보면서 낸 결론은 properties 혹은 yml 중에서 원하는 설정 파일을 사용하면 된다. 그저 가독성과 기호의 차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보통 그럴 일은 없겠지만 만약 properties와 yml을 둘다 사용할때 properties의 우선순위가 높기 때문에 Spring동작시 yml에서 설정한 값이 덮어져 무시될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반응형
'Backe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JMeter 부하테스트 (0) | 2025.01.14 |
---|---|
240729 회고 (0) | 2024.07.29 |
H2 Manual (0) | 2024.02.19 |
DTO / VO / Entity (0) | 2024.02.19 |
02/15 (0) | 2024.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