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499)
Day 25 (Physical Security) 물리보안(Physical Security) √ 감사 또는 감리의 100여 항목중에 20여 항목을 차지한다. 물리적 보안에 대한 위협 √ 위협과 위험은 다른말이다. 발생가능한 사건 자체를 위협이라고 하고 위협의 발생 빈도 수를 위험이라고 한다.그 방법에는 조직의 문, 천장, 바닥 등 모든 설비와 장치, 직원, 정보 처리에 수반되는 데이터를 보호 통제하기 위한 것들이 있다. 물리적 보안은 자산의 위험을 없애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통제를 통해 어떻게 얼마나 완화 시킬것인가에 대한 것이다. 따라서 모든 위협은 반드시 목록화가 되어야 한다. 위협 목록은 자산분석, 위협분석, 통제개발순서로 개발하며, 세분화 하게 되면 자산분석, 위협분석, 통제개발, 통제적용, 통제평가로 구분지을수있다. √ 물리적인 환경에서의 ..
보안 영역 구성을 위한 로컬 라우터 구현 192.168.10.0/24 네트워크와 192.168.111.0/24 네트워크와 192.168.112.0/24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망을 구축하려고 한다. 192.168.10.0/24 네트워크아래에 192.168.111.0/24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192.168.111.0/24 네트워크아래에 192.168.112.0/24 네트워크를 구성할것이다. 또한 외부에서 네트워크를 볼때 192.168.10.0/24네트워크에서 연결하는 것으로 확인되게 한다. 현재 설치된 네트워크는 192.168.10.0/24네트워크만 있다. 사용중인 IP는 192.168.10.156이고, netmask는 255.255.255.0, 게이트 웨이는 192.168.10.1이다. DNS는 현재 ISP의 DNS인 203.248.252.2를 사..
Day 24 (NFS & Multi network) NFS는 최초의 Filesystem으로 SUN사에서 개발되어 대부분의 유닉스에서 사용 가능하다. samba서버 운영방식는 server가 Linux이고 client가 window인 반면 NFS서버 운영방식은 server가 Linux이고 client도 Linux다. 또한 samba서버는 계정명으로 사용자를 구분하지만 NFS서버의 경우에는 UID값으로 사용자를 구분한다. 또 samba서버는 동기화 되지만 NFS서버는 mount를 해주어야 한다. mount는 모든 매체를 디렉토리에 연결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samba NFS 서버 Linux Linux 클라언트 Windows Linux 사용자구분 계정명 UID 연결방식 동기화 mount 관련 파일은 다음과 같다 Server Clinet 데몬 /usr/sbin/e..
Day 24 (SQL) putty만 접속이 안되고 Mobaxterm으로는 접속가능 오늘 테스트 : 둘다 접속가능 ======================================================================== 인라인 뷰(INLINE VIEW)와 TOP-N분석 튜닝에 사용할 목적으로 사용한다. *프로젝트 기간은 인시를 사용한다.인시는 한명이 작업시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인원이 많으면 많을수록 프로젝트 기간이 줄어드는 것이 정상이다, 그로나 일정인원 이상이 참여하면 작업시간이 줄어들지 않는다. 왜냐하면 서로가 서로의 작업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프로젝트를 분산하여 각각 완성되면 통합시키는 방식을 사용한다. * 슬라이드에 숫자가 들어갈때는 순서를 나..
Day 23 (SAMBA & NAT & Oracle windows) 기존 네트워크 방식을 변경하는 경우에 예를 들어 IP가 10.15라고 하자. bridge를 단순히 nat방식으로 변경하는데 power off하고 nat방식으로 변경해준다. editor에서 nat 값 확인후 변경해준다. putty는 접속이 되지 않는다. 10.15를 11.#으로 변경해야 하는데 네트워크가 달라 통신 불가. 따라서 xwindow에서 변경해야 한다. 설치중에 111.254는 putty접속이 불가능 하지만 111.253으로 설정하면 접속이 된다. 나머지 다른 설정은 동일하게 일치 시켜주었는데 ip주소차이로 접속이 되고 안되고 달라진다. 이유는 검색후에 적어보겠다. samba 서버 시작시 세팅 방법 yum list samba를 통해 samba서버의 설치를 확인한다. (*yum clean heade..
Day 23 (SQL) root directory : 루트 디렉토리(root directory, 문화어: 뿌리등록부)는, 주로 유닉스와 유닉스-계열 운영 체제에서 사용되는 개념인데, 컴퓨터 파일 시스템에서 계층 구조의 첫번째 또는 최상위 디렉토리를 가리킨다. 트리 구조의 줄기에 비유할 수 있는데, 모든 가지들이 뻗어 나오는 시작점의 역할을 한다. document root : 웹서버의 최상위 폴더 DOCUMENT_ROOT는 웹 상에서 최상위 폴더가 되는 OS 상의 절대경로를 말한다. 실제로 DOCUMENT_ROOT라는 이름의 폴더가 있는 것은 아니다. 환경변수(설정값)라고 생각하면 된다. PHP에서는 $_SERVER['DOCUMENT_ROOT'] 변수에 들어 있다. server root : 보통 root 사용자가 아파치를 시작한..
Day 22 (SAMBA & NAT) SAMBA 설정은 /etc/samba/smb.conf를 변경해서 수정한다. SAMBA 사용자 등록 및 password 변경은 /usr/bin/smbpasswd를 이용한다. smbpasswd [옵션] 유저명 옵션은 다음과 같다. a : 유저 등록 x : 유저 삭제 d : 사용중지 e : 재사용 삼바 계정 확인은 다음과 같이 실행한다. - pdbedit -w -L smb.conf의 구문 오류 검사는 /usr/bin/testparm를 통해 확인한다. [global] workgroup // NT 도메인 명 지정 netbios name // 네트워크 이름, 기본값 : 호스트명 hosts allow // 허가 항목 지정(지정된 것만 접속 가능) ex) host allow = 1.1.1. EXCEPT 1.1.1.11..
Day 22 (SQL) 테이블상세도표와 SQL 스크립트를 작성해서 제출하세요. 테이블명과 컬럼명은 모델링에 나온 한글이름을 그대로 사용합니다. 제약조건은 그림을 도대로 직접 결정합니다. 체출 답안 더보기 ====================================평가==================================== Day 21 (SQL)에서 언급했던 number타입은 자동으로 not null으로 설정되는 줄 알았으나 not null로 지정해줘야한다. ========================================================================= INDEX 관리자 과정을 배우기 전까지 내부를 볼수없다. squlplus는 프로세서(프로그램)로서 서버에서 받아온 데이터를 출력..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