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Netwrok (31) 썸네일형 리스트형 Day 53 (Network) 1. Application Layer 개요 2. Network application구조 1) client-server구조 2) peer-to-peer구조 3) Hybrid of client-server and P2P 구조 3. 프로세스간 통신 4. Socket 5. Application-layer protocol 정의 6. Application이 필요로 하는 전송 서비스 7. DNS 1. Application Layer 개요 - Transport layer 서비스 모델을 통해 데이터가 깨지거나 순서가 맞는가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지 비신뢰할 수 없는지 에 대한 내용이다. - 클라이언트 서버 모델의 예로서 클라이언트는 항상 클라이언트, 서버는 항상 서버로 유지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 peer-peer 모.. Day 52 (네트워크) 1. 인터넷 구성 2. Network Core, Network Edge 3. 네트워크 접속과 물리적 매체 4. ISP 5. 패킷지연 1. 인터넷 구성 node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의 통칭한다. host는 end system와 같은 말이며 ip를 가진 장치를 의미한다. 1tier architecture에서 사용하는데 1pc에 여러대 단말장치set을 구성하여 사용한다. 1tier : 호스트/터미널 시스템 2tier :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 3tier : 2tier + 2tier시스템 호스트들은 네트워크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인터넷에 참여하는 것 즉, 프로세스간의 통신을 의미한다. 패킷스위치(라우터, 링크계층 스위치)이용 패킷은 송신측과 수신측의 정보가 있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인터넷은 느슨한 계층적 구조.. Day 51 (네트워크) 1. 프로토콜의 구조 2. IP주소 3. Class & Bogon IP 4. Subnet Mask 5. Bitmask 6. Routing 7. ARP, ICMP 8. IP를 이용한 네트워크 구성방식 1) NAT 2) VLAN 1. 프로토콜의 구조 DataLink-Layer의 프로토콜은 ARP, NIC, RARP등이 있다. RARP프로토콜은 Boot TP 프로토콜로 현재는 DHCP로 대신해 사용중이다. ARP프로토콜이 중요한 이유는 사용하기 쉽기때문에 ARP프로토콜을 이용한 공격이 많아 방어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Network단의 ICMP는 데이터 송수신용이 아닌 시스템 질의용으로 사용 계륵같은 느낌이다. IP는 데이터 송수신용으로 사용한다. 2. IP주소 네트워크를 구축할때 반드시 세팅해야 하는 것들이.. 보안 영역 구성을 위한 로컬 라우터 구현(수정) 보안 영역 구성을 위한 로컬 라우터 구현 초판 : 기존 파일 몇가지 수정 최종 수정 파일 보안 영역 구성을 위한 로컬 라우터 구현 192.168.10.0/24 네트워크와 192.168.111.0/24 네트워크와 192.168.112.0/24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망을 구축하려고 한다. 192.168.10.0/24 네트워크아래에 192.168.111.0/24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192.168.111.0/24 네트워크아래에 192.168.112.0/24 네트워크를 구성할것이다. 또한 외부에서 네트워크를 볼때 192.168.10.0/24네트워크에서 연결하는 것으로 확인되게 한다. 현재 설치된 네트워크는 192.168.10.0/24네트워크만 있다. 사용중인 IP는 192.168.10.156이고, netmask는 255.255.255.0, 게이트 웨이는 192.168.10.1이다. DNS는 현재 ISP의 DNS인 203.248.252.2를 사.. Day 11 오늘은 먼저 네트워크 운영관리에 대해 평가받은 내용에 대해 적겠습니다. 평가 내용은 아래와 같은 조건에서 네트워크 순서에 대해 그림없이 기술하는 것 입니다. port ip mac 송신측 3000 1.1.1.2 snd 수신측 21 2.1.1.2 rcv 라우터 #1 1.1.1.1 r1 #2 2.1.1.1 r2 과정에서 먼저 패킷을 송신측 client Application인 ftp의 socket을 통해 메시지를 멀티플렉싱한다. 그리고 그 메시지가 TCP로 client Application에서 생성된 메시지에 수신측 포트넘버 21과 송신측 포트넘버 3000을 붙여서 Segment라는 형태로 멀티플렉싱한다. IP에서 Segment에 수신측 ip인 2.1.1.2와 송신측 ip인 1.1.1.2를 결합하여 Datagr.. Day 9 오늘은 먼저 라우팅 통신과정에 대해 알아보겠다. client server program_# of port ftp_3000 vsftpd_21 IP 1.1.1.2 2.1.1.2 MAC A B 기본 정보가 위와 같다면 라우터가 통신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Client Program을 ftp를 3000번 포트로 지정해서 사용하고,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 메시지가 TCP로 이동하게 되어 포트넘버 정보를 헤더로 갖게 되어 전송층에서 M | 21 | 3000로 구성 된다. 이를 Segment라고 한다. Segment는 네트워크층에서 S | 2.1.1.2 | 1.1.1.2로 구성된다. 이를 Datagram이라고 한다. Datagram은 링크층에서 D | A | R1로 구성되는데 이것이 Frame이다. 여기서 R1은 .. Day 8 이번에는 Swith(HUB)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단일 네트워크에서 ethernet은 10Mbps~1000bps의 대역폭을 가지는데 이것은 통산 1024개의 한계를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고 한다. 왜냐하면 단일 네트워크에서 1024대의 포트를 사용하게 되면 허브 & 사용 대역폭 낮추기 때문인데, 이것은 과거 얘기다. Swtich HUB의 주요한 기능중에 하나는 address learning기능인데 이것은 Swtich HUB로 들어오는 Frame에서 보내는 사람의 MAC주소만 알게 되어 MAC table을 작성하는 것이다. 처음 네트워크를 구성할때 address learning을 하고 난 후에 패킷을 보내는데 MAC table에 없는 주소에 보내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때는 먼저 ARP방식으로 데이터를 송.. 이전 1 2 3 4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