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Oracle (33) 썸네일형 리스트형 Day 31 (Oracle) 파라미터파일은 지정된 디렉토리에 지정된 이름으로 저장되어 있다. 과거에는 pfile만 있었는데 클러스터기능이 추가되면서 spfile이 생겨났다. pfile은 텍스트로 이루어져 있고 spfile은 바이너리코드로 이루어져있다. 실습에서는 spfile만 사용할것이다. spfilSID.ora파일이라고 적어놓은 것은 실습과정중에서 단일 DB를 사용하기 때문에 SID라고 적은 것이다. 엄밀히 말하면 spfileDB이름.ora로 사용해야 한다. SID는 인스턴스이름이기 때문이다. SQL실습중 바이너리파일을 수정한 방법은 'ALTER SESSION SET'명령어를 사용하여 'nls_data_format'이라는 파라미터 값을 변경했다. 만약 pfile이나 spfile이 손상되거나 지워졌을때 복구는 p파일과 sp파일을 이.. windows10에서 VMware을 이용한 linux설치 데스크탑이 아닌 노트북 공유기 사용하므로 공유기 설정에 패킷포워딩 필요 같은 네트워크를 NAT으로 사용시 공유기 설정페이지(192.18.0.1)에 접속이 거부되어 다른 네트워크(192.168.231.160/24) 사용 가끔 linux통신 죽을때는 네트워크 재시작 해본다. // 지속적으로 네트워크가 죽었다. 아래 해결책을 적어놓았다. 유에스비를 데이터 저장방식이 달라 리눅스에서 사용불가 samba설치 시도시 metadata에 관한 문제 발생 # yum clean metadata하면 된다는데.. 일단 사용 보류 // 네트워크 문제였는지 네트워크 문제를 해결하고 에러 코드가 //발생하지 않는다. MetaData 데이터에 관한 구조화된 데이터로, 다른 데이터를 설명해 주는 데이터이다. 대량의 정보 가운데에서 찾.. Day 29 (oracle & apache & php) 접속확인 // 오라클관리자계정 계정생성 // bst09/1234 호스트명 : ora12c IP : 192.168.10.12 아파치 서버 경로 : /app/apache 아파치 : 2.2.34 (httpd-2.2.34.tar.gz) PHP : 5.6.39 (php-5.6.39.tar.gz) 오라클 서버의 ORACLE_HOME 디렉토리 : /app/ora12c/12c 아파치 설치과정 PHP설치과정 make, make install 실행 cp php.ini-development /usr/local/lib/php.ini로 ini파일 복사 아파치, PHP설정 아파치파일 수정 PHP파일 수정//내용이 많고 위치가 정해져 있기때문에 찾아서 수정해야 한다. 아파치에 오라클 환경설정 추가 Day 28 (Oracle) connect는 유저프로세스가 서버프로세스에 접속하는 것을 말한다. SQL문장 실행전 오타확인, Dictionary를 조회해 table이나 column이 있는지 확인, 실행계획 설립 3가지 단계를 거친 후 문장이 실행된다. 데이터베이스버퍼캐시에 있는 데이터는 트랜젝션 발생시 리두로그버퍼에 저장된다. 리두로그버퍼의 권장용량은 cpu갯수 * 512K이다, 또한 전체 용량의 1/3이 찼을때 부터 리두로그파일에 저장한다. 저장이 끝날때까지 수정이 적용되지 않는다. 용량이 작은 이유는 전체 SQL문장 실행을 보면 SELECT문이 99.9%, 트랜젝션 문장이 0.1%이기 때문이다. 과거에는 용량비율을 sharedpool > database buffer cache > redologbuffer로 관리자가 직접 지정해주.. Day 27(oracle) 기본구조는 Instance와 Database로 구성 되어있다. Instance는 논리구조(Logical Structure)라고 하고 Database는 물리구조(Physical Structure)라고 한다. Instance는 메모리에 있고, Database는 물리적 저장매체에 있다. DB에서 명령어 실행이 진행되는 과정은 'Day 25 ( Oracle12c 계정 생성 및 DBserver)'에 있는 shutdown, startup 과정을 보면 알수있다. 명령어 실행은 명령어가 sqlplus같은 userprocessor에서 문장을 실행하기 위해 ~; enter을 입력하면 userprocessor가 serverprocessor로 동작을 지시한다. 이를 통해 Instance를 메모리에 올리고 Database에 m.. Day 26 ( Oracle12c 계정 생성 및 DBserver) sqlplus / as sysdba는 최상위 사용자 계정 권한으로 접속하는 내용이다. sysdba로 로그인이 가능한것은 보안상의 문제이다. 다만 oracle의 보안문제가 아니라 OS의 보안문제이다. OS안에서 PROGRAM이 실행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를 OS인증이라고 한다. dba_tablespaces에 나오는 테이블들은 db에 있는 테이블 전부 나온다. dba_는 관리자용 설정값을 출력하며 일반계정은 사용할 수 없다. 일반 계정이라면 user_을 사용해야 하며 user_tablespaces를 사용하면 계정에있는 테이블만 출력된다. tablespace_name에 있는 항목중 users만 보통 사용하며 나머지 system이나 sysaux, undotbs1, temp는 특별한 용도에 사용된다. 사용하는 .. Day 26(Oracle install - linux&xwindow) Linux용 Oracle client 설치 과정 : Day 22 (SAMBA & NAT & Oracle windows) Window용 Oracle client 설치 과정 : Oracle 12C 이전에 oracle을 설치했던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몇가지 차이가 있다. oracle12c를 터미널에서 설치시 설치가 불가능하다. orcle을 실습에서만 사용할것이기 때문에 이메일은 적지 않는다. 데이트베이스 소프트웨이만 설치 탭으로 설치실행시 DB가 없는 소프트웨어만 설치된다. rdb에서의 DB와 oracle에서의 DB는 다르다. 기존 데이터베이스 업그레이드는 설치된 데이터베이스 위에 업그레이드를 하는 것이기 때문에 지금은 사용할수없다. 데스크톱클래스는 자동으로 설정되는 것이다. 서버클래스는 내부구조를 알.. Day 26 (Oracle12c install - vmware&linux) 1. 리눅스 하드웨어 설정 보통 프로그램설치는 엔지니어가 하지 않는다. 판매사에서 메뉴얼을 주지 않고 엔지니어를 파견하여 설치하게 한다. 권장메모리는 2GB이다. swap공간은 memory의 2배이상으로 잡는다. 2. 계정설정 설치 계정 : ora12c (UID : 1200) 소속 그룹 : dba (GID : 1200) 홈 디렉토리 : /home/ora12c 계정을 따로 생성하는 이유는 메뉴얼상 root계정은 프로그램 설치를 하지 못한다. 왜냐하면 root가 가장 위험한 계정이기 때문이다. 또한 기본적으로 관리계정과 사용계정은 달라야 한다. 지금 생성하는 계정은 관리계정이다. 설치 과정 중에 $ORACLE_BASE는 /app/ora12c를 사용하는데 이로 인해 oraInventory 디렉토리가 /app에.. 이전 1 2 3 4 5 다음 목록 더보기